ERC-721A
Last updated
Last updated
간송 메타버스 미술관은 AZUKI가 최초로 구안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ERC-721A 컨트랙트 기술이 적용됩니다. ERC-721A는 단일 트랜잭션에서 여러 NFT를 발행하며, 가스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합니다. 즉, 소유자가 최초 민팅시 발행되는 NFT는 단일 NFT를 발행하는 것과 동일한 비용으로 소유자의 의사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복수의 NFT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ERC-721A기반의 컨트랙트는 주요 최적화를 통해 획기적으로 비용 절감을 이루어낸 파생기술개념입니다.
OZ(OpenZepplin) ERC721Enumerable에서 중복된 스토리지 제거 IERC721Enumerable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OZ의 제안은 각 토큰 메타데이터의 중복 저장소가 포함 되어 있습니다. 이 방식은 컨트랙트의 기능을 작성하는데 상당한 비용을 들이고 컨트랙트 리딩을 최적화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컨트랙트 리딩에 대한 비용적 부담이 있기 때문에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ERC-721A는 기본적으로 구현되는 일부 중복된 스토리지를 제거함으로서 비용적 부담을 줄입니다.
다수의 발행 요청에 대한 일회성 토큰추적 처리 Solidity에서는 저장된 값을 업데이트하는데 가스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1회의 NFT발행마다 저장된 값을 독립적으로 메인넷에 업데이트 합니다. 사용자가 5개의 NFT를 사고 싶다면, 5개의 독립적인 컨트랙트가 메인넷에 등록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스토리지에서 발행자가 소유한 토큰의 수를 추적하는 경우 해당 값을 5번 업데이트를 하는 대신 한 번의 업데이트로 작업을 끝내는 것이 비용부담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일 것입니다.
다수의 발행 요청에 대한 일회성 소유자 데이터 처리 2번의 항목과 비슷하게 사용자가 다중 민팅을 시도 했을 경우 각각의 독립된 처리가 아닌 한번의 처리를 통해 해당 다수의 NFT를 소유하고 있음을 의미적으로 암시하는 방식입니다. 즉, 소유자 값을 한 번의 등록을 통해 모든 비용 낭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